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양분이 필요합니다. 땅에 한번 뿌리를 내리면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은 광합성으로 양분을 얻습니다. 햇빛의 힘을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도당이라는 양분을 생성하는 작용이 바로 광합성이지요.
이때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려면 식물이 숨 쉬는 구멍 즉, 기공을 열어야 합니다. 그런데 물이 귀한 사막에 서식하는 선인장의 경우, 햇빛이 강한 낮에 기공을 열었다가는 저장해 놓은 수분을 모두 빼앗겨 말라버릴 위험이 큽니다. 사막에서 살아남으려면 안전한 방식으로 양분을 얻을 대책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에 선인장은 햇빛이 없는 밤에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저장해 두는 전략을 펼칩니다. 그렇게 밤중에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낮에 기공을 열지 않으면서 광합성 할 수 있지요.
이처럼 선인장은 뜨겁고 건조한 사막에서 자신을 주변 환경에 최적화시켜 양분을 얻습니다. 척박한 환경이라도 방법을 강구해 개척하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답니다.
39